-
목차
반응형산모 2025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바우처 신청부터 이용까지 총정리!
1.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이란?
출산 후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한 회복을 돕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방문 서비스입니다. 건강관리사가 가정을 방문해 산모의 신체 회복을 돕고, 신생아를 돌보며, 기본적인 가사 지원을 제공합니다. 특히, 첫째아뿐만 아니라 다태아 출산 가정도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2025년 변경 사항: 더 넓어진 혜택
2025년부터 지원 기간이 늘어나고, 대상도 확대되었습니다.
변경 사항2024년2025년바우처 유효기간 출산 후 60일 이내 출산 후 90일 이내 (삼태아 이상 100일) 지원 대상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기준 중위소득 초과 일부 가구 추가 신청 기한 출산 후 30일까지 출산 후 60일까지 서비스 가격 기존 대비 3~5% 인상 서비스 제공 시간 반영하여 조정 3.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기본 대상이며, 일부 예외적으로 소득 초과 가구라도 지원 가능합니다.
소득 기준표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50%)
가구원 수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지역가입자)2인 210,208원 143,648원 3인 271,459원 221,206원 4인 330,765원 292,298원 5인 386,684원 357,963원 4. 바우처 신청 방법과 절차
바우처 신청은 온라인과 방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신청 절차
- 국민행복카드 발급 (필수)
- 서비스 신청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60일까지)
- 자격 확인 및 승인
-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 서비스 제공 시작
5. 서비스 제공 내용 및 종류
기본 서비스와 추가 서비스로 나뉩니다.
기본 서비스
- 산모 건강관리 (유방 마사지, 좌욕 등)
- 신생아 돌봄 (목욕, 수유 지원)
- 가사 지원 (식사 준비, 청소 등)
추가 서비스 (유료)
- 연장 서비스
- 야간 돌봄 서비스
- 산모 심리 상담
6. 서비스 비용 및 정부 지원금
출산 유형 및 서비스 시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출산 유형서비스 기간(일)서비스 가격(천원)정부 지원금(천원)단태아 첫째 10 1,424 1,138 단태아 둘째 15 2,136 1,494 쌍태아 15 2,670 2,002 삼태아 이상 25 8,920 7,137 7. 서비스 제공 기관 및 인력 기준
서비스 제공 기관은 정부 등록된 업체여야 하며, 건강관리사는 일정 교육을 이수한 전문 인력이어야 합니다.
- 건강관리사 교육 강화 (800시간 이상 이론 및 실습 필수)
- 제공 기관 정기 점검 및 만족도 조사 실시
8.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국민행복카드가 있어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네, 국민행복카드는 필수입니다. 바우처 지원금을 결제할 때 사용됩니다.Q2. 신청 기간을 놓쳤어요. 예외적으로 신청할 수 있나요?
출산 후 60일까지 신청해야 하며, 기간 초과 시 신청이 어렵습니다.Q3. 서비스 이용 중에도 변경이 가능한가요?
네, 서비스 연장 및 변경이 가능하지만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반응형'정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부터 출산까지, 출산전후휴가 제대로 알고 누리기 (0) 2025.03.22 출산 전후 의료비 지원! 의료급여 임신·출산 바우처 신청 가이드 (0) 2025.03.20 출산하면 200만원 지원! 첫만남이용권 신청 방법부터 사용법까지 (1) 2025.03.20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지원 혜택 100% 활용하는 방법 (0) 2025.03.20 실업급여 신청방법 (0) 2025.03.19